오랫동안 기다려 온 소울맨(Soulman)의 첫 솔로 싱글 앨범 [Love Is On] 한국 최고의 감성 보컬 소울맨, 사랑의 불을 켜다. 국내 대중음악계에서 개성 있는 감성 보이스와 최고의 테크닉으로 수많은 뮤지션의 러브콜을 받으며 작업을 해오던 소울맨이 드디어 첫 솔로 앨범 발표 전, 첫 싱글 “Love Is On”을 발표한다. 이번 싱글에는 어반 알앤비(Urban R&B)사운드에 독보적인 존재인 Mbrica 윤재경 프로듀서의 곡인 “Love Is On”과 “흰수염고래”의 박상현이 곡을 쓴 보사노바풍의 소울넘버 “Inside”등이 수록되어 있다. 몸을 움직이지 않고선 들을 수 없는 그루브(Groove)감이 돋보이는 세련된 어반 알앤비 곡인 “L...(展开全部) 오랫동안 기다려 온 소울맨(Soulman)의 첫 솔로 싱글 앨범 [Love Is On] 한국 최고의 감성 보컬 소울맨, 사랑의 불을 켜다. 국내 대중음악계에서 개성 있는 감성 보이스와 최고의 테크닉으로 수많은 뮤지션의 러브콜을 받으며 작업을 해오던 소울맨이 드디어 첫 솔로 앨범 발표 전, 첫 싱글 “Love Is On”을 발표한다. 이번 싱글에는 어반 알앤비(Urban R&B)사운드에 독보적인 존재인 Mbrica 윤재경 프로듀서의 곡인 “Love Is On”과 “흰수염고래”의 박상현이 곡을 쓴 보사노바풍의 소울넘버 “Inside”등이 수록되어 있다. 몸을 움직이지 않고선 들을 수 없는 그루브(Groove)감이 돋보이는 세련된 어반 알앤비 곡인 “Love Is On”은 이 봄, 사랑에 빠지고 싶은 사람의 마음의 불을 켤 수 있는 감각적인 러브송이다. 특히 리믹스곡인 몽환적인 감각의 맥스웰(Maxwell)풍의 “Love Is On-Smooth On Version”은 그 달콤함과 부드러움에서 헤어나오기 힘든 최고의 트랙이다. 또한 이 싱글의 다른 수록 곡인 “Inside”는 프리미엄 음악쇼 라이브세션(www.livesession.co.kr)에서 소울맨의 절친이자 음악동료인 정인씨와 듀엣으로 무대를 가져, 매니아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 곡이다. 소울맨의 음악인생 10년의 새로운 장을 열 첫 솔로 앨범의 신호탄! 그가 음악계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지 10년이 지나는 동안, 그는 여러 기획사의 제작제의를 많이 받아왔지만 자유로운 영혼인 소울맨의 음악적 욕심을 채우기에는 여러모로 부족한 점이 많았다. 많은 고민과 시행착오 끝에 2010년! 그는 드디어 혼자 힘으로 자신만의 음악을 보여주기 위해 이번 앨범을 제작했다. 2009년 미국으로 넘어가 유명 뮤지션들과 레코딩 작업을 가지고, 국내에서도 많은 실력파 뮤지션들과 작업을 통해 더욱 그 세기를 더했다. 특히 미국에서 포리듬[드럼/베이스/건반/기타]의 동시 연주 레코딩으로 그루브(groove)나 생동감을 더욱 담아낼 수 있었는데, 컴퓨터로 일괄적으로 찍어내는 음악과는 다른 살아있는 음악을 소울맨의 목소리와 함께 들을 수 있다. 이번 싱글에는 “Inside”만이 수록되어 있는데 앞으로 발표할 싱글과 첫 정규 앨범을 통해 다른 작업물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싱글 수록곡 “인사이드(Inside)”에서는 타리크 아코니(Tariqh Akoni)의 기타 사운드가 매력적인데 타리크 아코니는 조쉬그로반(Josh Groban)의 뮤직디렉터이자 존레젼드, 에릭베넷, 인디아 아리, 죠스 스톤 등의 세션으로 현재 미국에서 가장 각광받고 있는 기타 연주자이다. 또한 드럼에는 퓨젼재즈의 거장인 옐로우자켓[Yellow Jacket]의 드러머이며 모던 드러머(Modern Drummer) 매거진 3년 연속 최우수 드러머로 뽑힌 윌케네디(Will Kennedy)가 안정적인 연주를 펼쳤으며, 피아노는 80년대 정통 팝 프로듀서이자 퀸시 존스, 데이빗 포스터 등의 세션이었던 그렉 매티슨(Greg Mathieson)이 참여했다. 모든 뮤지션의 음악에 필요한 그의 목소리 소울맨은 국내 유명 보컬들의 산실이라 볼 수 있는 많은 보컬 크루에 몸 담아 왔었다. R&B계의 많은 실력파 뮤지션을 배출한 리필(Refeel)을 시작으로, 블랙가스펠 그룹 헤리티지의 전신인 “믿음의 유산(Heritage Of Faith)”의 멤버였으며, 김동희, 박정은 등을 배출한 그룹 소울사이어티(Soulciety)와 각종 유명 아카펠라 그룹에 이르기까지, 그의 목소리가 필요한 곳들이 끊이지 않았다. 또한 정인, 린, 버블시스터즈, 김조한 등과 같은 R&B씬과 조PD, 피타입, 아웃사이더, 슈프림팀, 뉴올리언스, 키비, 더 콰이엇 등의 힙합씬을 넘어 오리엔탈 펑크 스튜와 같은 일렉트로닉씬에 이르기까지 장르를 넘어서 강태우의 목소리를 필요로 하는 뮤지션들이 너무나도 많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장르 음악뿐만 아니라, 국내 최고의 대중가수들인 이승기, SG워너비, 박정현, SS501 등 수백여 장의 앨범에 코러스로 참여하는 등 대중에게 가장 익숙한 음악들에게서 조차 그의 목소리를 들을 수가 있었다.
还没人写过短评呢
还没人写过短评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