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클베리핀 약사(略史) 허클베리핀은 1997년 이기용(기타,보컬)과 남상아(보컬, 기타), 김상우(드럼) 세 명의 젊은이가 만나 홍대앞에서 결성한 밴드다. 홍대앞 라이브 클럽을 중심으로 수많은 인디 밴드들이 나오던 시절, 허클베리핀은 고유한 색깔을 가지며 존재감을 키워나갔다. 1998년 발매된 1집 앨범 <18일의 수요일>은 일찍이 듣지 못했던 치열한 긴장감과 격렬한 허탈감이 배어 있었다. 너바나와 소닉 유스에게서 영향받은, 그런지와 노이즈는 앨범의 기조를 이루고 있는 장르였고 무엇보다 비트 해프닝의 단순하면서도 직설적인 음악의 문법은 분노를 넘어선 쓸쓸함의 탄생에 가장 큰 기여를 했던 요소다. 가사도 남달랐다. ‘절름발이의 꿈’으로 대변되는 쓸쓸한 일상의 ...(展开全部) 허클베리핀 약사(略史) 허클베리핀은 1997년 이기용(기타,보컬)과 남상아(보컬, 기타), 김상우(드럼) 세 명의 젊은이가 만나 홍대앞에서 결성한 밴드다. 홍대앞 라이브 클럽을 중심으로 수많은 인디 밴드들이 나오던 시절, 허클베리핀은 고유한 색깔을 가지며 존재감을 키워나갔다. 1998년 발매된 1집 앨범 <18일의 수요일>은 일찍이 듣지 못했던 치열한 긴장감과 격렬한 허탈감이 배어 있었다. 너바나와 소닉 유스에게서 영향받은, 그런지와 노이즈는 앨범의 기조를 이루고 있는 장르였고 무엇보다 비트 해프닝의 단순하면서도 직설적인 음악의 문법은 분노를 넘어선 쓸쓸함의 탄생에 가장 큰 기여를 했던 요소다. 가사도 남달랐다. ‘절름발이의 꿈’으로 대변되는 쓸쓸한 일상의 그늘을 담아낸 노랫말은 많은 좌절한 젊은이들을 허클베리핀의 공연장으로 불러모았다. 정(停)과 동(動)의 팽팽한 줄다리기, <18일의 수요일>을 규정할 수 있던 키워드였다. 1999년 허클베리핀은 새로운 멤버들로 재정비 되었다. 남상와 김상우가 탈퇴하고 이소영(보컬,기타), 김윤태(드럼)이 새로 가입, 현재 허클베리핀의 모습은 이 때부터 시작되었다. 새로운 허클베리핀은 소닉 유스 대신 영국의 포크 팝 밴드 벨 앤 세바스찬의 노래를 리메이크하기도 했으며 바이올린과 키보드를 세션으로 기용해서 보다 풍성한 사운드를 만드려는 모습을 보였다. 그런 일련의 시도는 2000년 발매된 두 번째 앨범 <나를 닮은 사내>에 충분히 반영됐다. <나를 닮은 사내>는 허클베리핀이 멤버 뿐만 아니라 앞으로 걸어갈 길도 바뀌었음을 보여준 앨범이었다. ‘길을 걷다’ ‘Somebody to Love’ 와 같은 노래에서 발견되는 서정성은 이들이 단순한 그런지 밴드로 남아있을 수 없는 밴드임을 말해줬다. 서정적인 멜로디 뿐만 아니라 한 음 한 음 뜯어대는 기타 아르페지오와 그 위에 얹히는 바이올린과 키보드는 분노와 증오를 뛰어넘는 미학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사운드가 변했다하여 허클베리핀이 갖고 있는 정서마저 바뀐 것은 아니었다. “길을 막고 물었지/달라진게 뭐냐고”('A')같은, 거두절미의 물음은 그들의 서정성이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찬미의 소산이 아니라 잃을 것도, 버릴 것도 없는 이들의 허탈함에서 나왔음을 알게 해줬다. 팬들의 반응도 두 갈래로 나뉘었다. 일찍이 허클베리핀의 정서에 매료된 이들은 변함없는 지지를 보였으며, <나를 닮은 사내>의 묘한 서정성을 알게 된 이들이 새로운 허클베리핀의 팬이 되었다. 여기까지가 허클베리핀의 과거다. 그들의 현모습을 규정하는 세 번째 앨범 <올랭피오의 별>은 이 과거의 연장선상에 있으되 지난 9년간의 행적속에서 꺼집어낸 새로운 이야기다. -허클베리핀 3집 <올랭피오의 별> <올랭피오의 별>은 빅토르 위고의 시 ‘올랭피오의 슬픔’에서 제목을 따온 앨범이다. “올랭피오 라는 이름이 주는 낯설음이 마음에 들었다. 또한 이번 앨범에 수록된 몇 몇 곡들을 들으면서 별과 달처럼 붕 떠있는 느낌을 받았다.” 이기용이 설명하는 앨범 타이틀의 배경이다. 쓸쓸함, 개인, 주위와 고립된 개인을 노래한 이 시는 <올랭피오의 별>의 기본적인 정서와 맞닿아 있다. 허클베리핀의 첫 번째 자체 제작 앨범이기도 한 <올랭피오의 별>은 지난 2003년 중반, 녹음이 완료된 상태였다. 그 후 약 반년에 걸쳐 계속 재녹음과 믹싱이 반복됐다. 밴드의 멤버들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소리를 위해서 뉴욕에 있는 청킹 스튜디오에서 작업의 일부가 이뤄지기도 했다. 그 결과 역대 허클베리핀의 음반 중 가장 뛰어난 음질을 갖고 있는 작품이 탄생했다. 단순히 사운드가 깨끗하다는 의미가 아닌, 멤버들의 머릿속에 있는 사운드가 기술적으로 가장 잘 구현됐으며, 듣는 이도 가감없이 허클베리핀이 표현하고 싶은 소리를 느낄 수 있다는 말이다. <올랭피오의 별>에는 ‘Time’으로 시작, ‘Silas Mano’까지 모두 13곡이 수록됐다. 각각의 노래는 1997년부터 2002년까지, 다양한 시기에 만들어졌다. 이 곡들은 만들어는 놨으나 앨범에 수록하기에는모자란, 이른바 B-Side곡들이 아니라 1집과 2집에 담기기에는 다른 곡들과의 정서적 이질감 때문에 축적해놨던 노래들이다. 앨범 녹음을 앞두고 몰아치듯 만든 노래들이 아니라 오랫동안 가다듬고 숙성시켰기에 <올랭피오의 별>은 어느 곡 하나 빠지지 않는 완성도를 보여준다. 그렇게 만들어진 곡들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다양한 악기가 동원되었다. <나를 닮은 사내>와 마찬가지로 바이올린과 키보드는 물론이요, 탁월한 개성을 갖고 있는 여러대의 기타를 사용, 사운드의 기본적인 골격에 다양한 색깔을 입혔다. 깁슨과 펜더, 리켄베커 등의 명기(名器)가 <올랭피오의 별>의 풍부한 감성을 만들어냈다. 2001년 후반부터 2003년 상반기 까지의 적지 않은 시간동안 녹음했으며, 그 보다 오랜 기간에 걸쳐 만들어진 곡들을 담고 있는 이 앨범은 허클베리핀 음악의 총정리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단순히 그동안 만들어둔 노래들을 적극 활용했기 때문이 아니라, 사운드적인 방법론과 노래를 통해서 느낄 수 있는 정서, 허클베리핀의 최대 미덕이라 할만한 시적인 노랫말 등 모든 부분에 있어서 그들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집약시켰다는 뜻일 것이다. .... ....
0 有用 低等游民 2018-10-16
韩国百大名盘第85,Huckleberry Finn 3辑。节奏比排名64位的那个1辑还好一些,但还是不太喜欢,我觉得融合的有些奇怪。
0 有用 低等游民 2018-10-16
韩国百大名盘第85,Huckleberry Finn 3辑。节奏比排名64位的那个1辑还好一些,但还是不太喜欢,我觉得融合的有些奇怪。